보건소식

HOME > 알림마당 > 보건소식

[9월 건강정보] 당신의 심장은 안녕하신가요?

작성자
김지민
등록일
2025-09-24
조회수
35

1. 당신의 심장은 안녕하신가요? 급성심장정지의 예방. 당신의 일상생활과 직장에서 시작하세요!

급성심장정지란? 급성심장정지는 갑자기 심장기능이 중단되어 혈액순환이 멈추는 상태로 급작스러운 사망을 초래합니다.

급성심장정지 연간 발생 추이. 국내 급성심장정지 환자는 전반적으로 증가 추세를 보여왔으며, 연간 3만여 명 이상 발생하고 있습니다. 2013년 29356명, 2014년 30309명, 2015년 30771명, 2016년 29832명, 2017년 29262명, 2018년 30539명, 2019년 30782명, 2020년 31652명, 2021년 33235명, 2022년 35018명, 2023년 33586명. 출처 2023 급성심장정지조사 통계, 질병관리청.

급성심장정지의 주요 위험 질환. 심부전과 심근경색 등을 포함한 여러 질환은 급성심장정지의 위험요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Adjusted OR은 심부전 22.60, 심근경색 8.55, 부정맥 2.79, 뇌졸중 2.85, 당뇨 1.63, 고혈압 1.55. Adjusted OR(조정 승산비)는 Adjusted Odd Ratio. 예시, 심부전이 있는 사람은 심부전이 없는 사람보다 급성심장정지 발생 가능성이 22.6배 높다. 출처 Park et al. Healthy lifestyle factors, cardiovascular comorbidities, and the risk of sudden cardiac arrest: A case-control study in Korea. Resuscitation 2022.

최근 연구들에서 근무 형태와 근무 지속 시간도 급성심장정지 발생과 관련이 있다고 보고되었습니다.

1.근무형태. 잦은 야간/저녁 근무는 급성심장정지 발생과 연관되어 있습니다. 출처 Ha SW et al. Association of Evening Shifts, Night Shifts, and Consistent Overtime Exceeding 10 Hours per Day with Sudden Cardiac Arrest: A Case-Control Study. J Clin Med. 2024.

2.근무시간. 하루 10시간 이상의 근무도 급성심장정지 발생과 연관이 있습니다. 출처 Ha SW et al. Association of Evening Shifts, Night Shifts, and Consistent Overtime Exceeding 10 Hours per Day with Sudden Cardiac Arrest: A Case-Control Study. J Clin Med. 2024.

하루 근무 지속 시간에 따른 위험도. 특히 하루 11시간 이상 근무하는 경우 일반 근무자(7-9시간)보다 급성심근경색 발생 위험이 약 1.63배 증가하였고, 급성심근경색은 급성심장정지의 위험요인입니다. 출처 Hayashi R, Iso H, Yamagishi K, Yatsuya H, Saito I, Kokubo Y, Eshak ES, Sawada N, Tsugane S; Japan Public Health Center-Based (JPHC) Prospective Study Group. Working Hours and Risk of Acute Myocardial Infarction and Stroke Among Middle-Aged Japanese Men – The Japan Public Health Center-Based Prospective Study Cohort Ⅱ. Circ J. 2019 Apr 25;83(5):1072-1079. doi: 10.1253/circj.CJ-18-0842.

일상에서의 급성심장정지 예방. 금연하기. 주 1회 이상 중등도 또는 고강도 운동하기. 중등도 운동: 평소보다 몸이 조금 힘들거나 숨이 약간 가쁜 운동(예: 배드민턴, 가벼운 물건 나르기 등). 고강도 운동: 평소보다 몸이 매우 힘들거나 숨이 매우 가쁜 운동(예: 조깅, 등산, 축구, 무거운 물건 나르기 등). 하루 6~8시간 수면 실천하기. 과일/채소 하루 1회 이상 섭취하기. 붉은 육류 섭취 줄이기. 출처 Park et al. Healthy lifestyle factors, cardiovascular comorbidities, and the risk of sudden cardiac arrest: A case-control study in Korea. Resuscitation 2022.

직장에서의 급성심장정지 예방. 과도한 연속 근무 자제, 저녁/야간 근무 최소화하기. 업무 후 충분한 휴식과 수면 확보, 건강한 생활습관 유지하기

급성심장정지의 목격자 심폐소생술 과정. 급성심장정지 예방 활동에도 불구하고 갑자기 심장정지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급성심장정지 환자 발견 즉시 119에 연락한 후 심폐소생술을 시작하고 자동심장충격기(AED)를 사용해야 합니다. 출처 2020년 한국심페소생술 가이드라인, 질병관리청

심폐소생술 시행. 심폐소생술을 할 때는 가슴 가운데를 약 5cm(성인기준, 소아는 4-5cm)의 깊이로 1분당 100-120회의 속도로 누릅니다. 1. 가슴압박 2. 가슴압박:인공호흡=30:2. 인공호흡법을 잘 모르거나 원하지 않는 경우, 가슴압박만 시행. 자동심장충격기(AED) 사용. 자동심장충격기(AED)의 전원을 켠 후 장치에서 나오는 음성 신호를 따라 하면 쉽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1전원켜기 2전극부착 3리듬분석 4전기충격 출처 2020년 한국심페소생술 가이드라인, 질병관리청

질병관리청에서는 누구나 쉽게 심폐소생술을 배울 수 있도록 교육자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질병관리청 누리집 https://www.kdca.go.kr . 유투브 채널 질병관리청 아프지마TV. 국가손상정보포털 https://www.kdca.go.kr/injury .

당신의 근무 환경도 급성심장정지와 관련이 있습니다. 과도한 연속 근무와 생활 습관 관리 부족은 심장을 위태롭게 할 수 있습니다. 건강한 근무 환경을 조성하여 일상생활을 관리하고, 우리 모두의 심장 건강을 지킵시다!

출처: 질병관리청

페이지 만족도

의견등록